변수(Variable)
변수란 ?
프로그램은 작업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변수를 사용하는데,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한다. 변수란 이름을 갖게 된 이유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수시로 값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변수에는 복수 개의 값을 저장할수 없고,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수 있는 메모리 공간
>>정수타입은 정수값만 실수타입은 실수값만 저장할 수 있다.
변수의 선언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타입 변수이름;
int age; //정수(int) 값을 저장할 수 있는 age 변수 선언
double value; // 실수 (double)값을 저장할 수 있는 value 변수 선언
int = i, j, k;
-
첫번째 글자는 문자, $, _이어야한다.(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
2.영어 대소문자가 구분된다.
-
3.첫 문자는 영어 소문자로 시작하되, 다른 단어가 붙을 경우 첫 문자를 대문자로 한다.
-
4. 문자 수(길이)의 제한은 없다.
-
5. 자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
변수는 선언된 블록 내에서만 사용가능하다.
String memo = "Hello";
//String은 기본 타입이 아니다. 클래스 타입이며, 참조 변수이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저장하려는 값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알맞은 자료형을 변수의 타입으로 선택하면 된다.
(1) 기본형과 참조형
자료형은 크게 '기본형'과 '참조형'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형 변수는 실제값(data)을 저장하는 반면,
참조형 변수는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memory address)를 값으로 갖는다.
자바는 C언어와 달리 참조형 변수 간의 연산을 할 수 없으므로
실제 연산에 사용되는 것은 모두 기본형 변수이다.

참조형 변수(또는 참조변수)를 선언할 때는 변수의 타입으로 클래스의 이름을 사용하므로
클래스의 이름이 참조변수의 타입이 된다.
그래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한다는 것은 새로운 참조형을 추가하는 셈이다.
자료형(data type)과 타입(type)의 차이점
기본형의 종류를 얘기할 때는 '자료형(data typ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참조형의 경우 객체의 주소를 저장하고, 값(data)이 아닌 객체의 종류에 의해 구분되므로
참조형 변수의 종류를 구분할 때는 '타입(typ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타입'이 '자료형'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의미의 용어이므로 굳이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2) 기본형(primitive type)의 종류
- 기본형에는 모두 8개의 타입이 있으며, 크게 논리형,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으로 구분된다.
- 기본형의 크기는 1byte, 2byte, 4byte, 8byte의 4가지로 구분된다.
- 기본 자료형의 종류와 크기는 반드시 외워야 한다.
(3)논리형 - 기본 값 false- 논리형에는 'boolean' 한 가지 밖에 없다.
- boolean은 true 또는 false중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 boolean은 조건에 의한 분기 처리를 위해 많이 사용된다.
- 데이터를 다루는 최소단위가 1byte임으로 1byte의 크기를 가지게 된다.
ex) boolean switch = false;
(4)문자형 - 기본 값 ' ' (공백)
- 문자형에는 'char' 한 가지 밖에 없다.
- char는 한 글자 단위의 문자를 나타내는 타입이며 'a', '이'와 같이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 char는 표현방식이 여러 가지로 아래와 같다.
ex)
char alpha = 'A'; //문자 하나로 표현 **주로 사용
char alpha = '\u0041'; //문자의 Unicode(16진수)로 표현
char alpha = 65; //문자의 10진수 값으로 표현
(5) 정수형 - 기본 값 0
- 정수형에는 'byte', 'short', 'int', 'long' 4가지가 있으며 저장하려는 값의 범위에 따라 4개의 정수형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 기본 자료형은 int이다.
- long형 값의 경우 접미사 'L'또는 'l'을 붙여 주어야 한다.
ex)
int number = 50; //byte, short, int형 크기의 값은 접미사가 붙지 않는다.
long number = 30000000000L //long형 크기의 값은 접미사가 붙어야 한다.
byte number = 200; //오류 : 변수의 타입이 저장할 수 있는 범위를 넘는 값은 저장할 수 없다.
(6) 실수형 - 기본 값 0.0
- 실수형에는 'float', 'double' 두 가지가 있으며 저장하려는 값의 범위뿐만 아니라 정밀도에 따라 두 가지 실수형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 기본 자료형은 double이다.
- float형 값의 경우 접미사 'F' 또는 'f'를 붙여 주어야 한다.
ex)
double pi = 3.1415926548; //double형의 크기의 값은 접미사가 붙지 않는다.
float pi = 3.1415926548F; //float형 크기의 값은 접미사가 붙어야 한다.

'JAVA > JAVA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참조 타입 (0) | 2023.05.05 |
---|---|
[JAVA] 연산자와 연산식 (0) | 2023.05.04 |
[JAVA] 반복문 (for문, while문, do-while문) (0) | 2023.05.04 |
[JAVA] 조건문 ( if문, switch문 ) (0) | 2023.05.04 |
[JAVA] JAVA 시작하기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