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128

[JSP] JSP EL 표현식과 문법 사용법

JSP EL 표현식과 문법 사용법 표현 언어(Expression Language)로 표현 단순화하기 EL(Expression Language)? JSP 출력에 대한 부분을 쉽게 하기 위해 개발한 tag(태그)이다. 표현 언어는 표현식보다 사용방법이 간단하고 문법체계가 직관적으로 아주 쉽습니다. 표현 언어는 ${}를 사용하여 값을 표현합니다. EL표기법 ${ } - JSP가 실행될 때 즉시 반영된다. (Immediate evaluation) - 객체 프로퍼티 값을 꺼낼때 주로 사용 표현식 예) 표현언어 예 ) ${expr} #{ } - 시스템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그 값을 사용한다. (Deferred evaluation) - 사용자 입력값을 객체의 프로퍼티에 담는 용도로 주로 사용 ${member.no..

JSP/JSP 정리 2023.06.05

[JSP] JSP 자바 빈과 액션 태그

자바 빈과 액션 태그 자바 빈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만 하는 것이 아니고 자바의 데이터의 은닉(data hiding)이란 개념을 사용합니다. 데이터의 은닉은 객체 외부에서 데이터를 직접 다루면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서 나온 객체지향의 개념입니다. 데이터를 은닉하기 위해서 데이터는 private 접근 제한자를 사용하고 public 접근제한자로 공개된 메소드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자바 빈 클래스 만들기 자바 빈도 역시 클래스입니다. 그러므로 자바 빈 역시 클래스를 구성하는 요소인 필드와 메소드로 구성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자바 빈은 필드와 getter/setter 메소드를 하나의 쌍으로 갖는 특별한 클래스입니다. 즉, 자바 빈은 클래스의 특별한 형태라 할 ..

JSP/JSP 정리 2023.06.04

[JSP]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

쿠키(cookie)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에서는 연결(connection)이 지속됩니다. 연결이 지속된다는 말은,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에서 찜해 놓은 상품 목록을 다른 웹사이트를 방문했다 돌아와도 여전히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입니다. 이렇듯 인터넷 서비스는 연결이 지속되어야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웹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사용 가능한 웹 서비스로는 ftp, http 등이 있습니다. 이들 서비스는 일종한 규칙을 준수해야 하는데 이를 프로토콜(표준 인터넷 규약)이라고 합니다. •서버가 쿠키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해 두면 쿠키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웹 페이지가 웹 서버에 요청될 때 저장해 놓은 쿠키에 대한 정보를 웹 서버에 다시 건네줍니다. •쿠키는 사용자측에 대한 ..

JSP/JSP 정리 2023.06.04

[JSP]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이란 ? 서블릿(Servlet)이란 동적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서블릿은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출만으로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서블릿이 뭔지 연습 해보자 패키지 위에서 Servlet MyServlet / Add /dd /이름/ /이름.. 이런식으로 만든다 . 주소창 파일이름이 나와있어서 해킹위험이있다 . JSP 보다는 서블릿이 보안이 좋다. 주소창에 Add로 만든 /이름을 쳐도 똑같이 실행이된다.(4개만들면 4개다 가능) // 긁지않은개발자 package kr.hcat.app;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karta.servl..

JSP/JSP 정리 2023.06.02

[JSP] JSP 액션태그

JSP 액션태그 태그의 종류 설명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페이지의 흐름을 제어할 때 사용한다. 정적 혹은 동적인 자원을 현재 페이지의 내용에 포함시킨다. 페이지를 모듈화할 때 사용한다. , , 과 같이 사용되어 인자를 추가할 때 사용한다. 빈(Bean)을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한 환경을 정의하는 액션태그이다. 액션은 빈에서 속성 값을 할당한다. 액션은 빈에서 속성 값을 얻어올 때 사용한다. 긁지않은개발자 액션 태그는 XML 문법을 따릅니다. 즉 시작 태그와 함께 반드시 종료 태그를 포함해야 합니다. 액션 태그의 기본 형식 내용 XML 형식을 따르는 간단한 액션 태그의 예 액션 태그에 속성값만 지정하고 내용이 없을 경우에는 XML 규칙에 의해 끝나는 태그를 따로 하지 않고 시작 태그의 마지막 부..

JSP/JSP 정리 2023.06.01

[JSP] JSP 내장객체

JSP 내장객체 JSP 내장 객체는 JSP에서 프로그래머가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를 말합니다. JSP에서 내장 객체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JSP가 서블릿 파일로 변환될 때 JSP 컨테이너가 객체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기 때문입니다.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 없이 바로 사용가능하다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간단한 메시지(“Hello JSP”)를 출력하는 hello.jsp 파일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hello.jsp의 스크립트릿 내부에 out이란 객체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JSP문서의 스크립트릿 내부에서 out 객체를 선언없이 사용함 서블릿에서 out 객체 얻기 PrintWriter out=response.getWriter(); JSP 페이지가 변환된 서블릿 파일을..

JSP/JSP 정리 2023.06.01

[JSP] JSP 기본태그(수정 159)

JSP 기본태그 HTML이나 자바스크립트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들은 그 페이지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내용만을 제공해주는 정적 페이지입니다. 하지만 웹 프로그램들은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동적 페이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JSP 태그를 사용해야 합니다. 종류 사용용도 형식 스크립트릿(scriptlet) 자바 코드를 기술함 선언(declaration) 변수와 메소드를 선언함 표현식(expression) 계산식이나 함수를 호출한 결과를 문자열 형태로 출력함 주석(Comment) JSP 페이지에 설명을 넣음 지시자(Directive) JSP 페이지의 속성을 지정함 긁지않은 개발자 (JSP 기본 태그) JSP 스크립트 요소 •JSP 문서는 확장자가 ...

JSP/JSP 정리 2023.06.01

[JSP] JSP (Java Server Page) 란?

JSP 란? JSP는 Java Server Page의 약어로서 HTML 태그에 자바로 프로그래밍하여 브라우저에 보여주는 페이지입니다. JSP 문서는 HTML 태그 사이에 ( JSP가 제공해주는 스크립트릿 태그)를 추가하여 그 안에 자바 코드를 집어 넣으면 서블릿 컨테이너는 이 부분을 JSP로 인식하여 이를 해석한 후 HTML형태로 변환된 내용이 브라우저를 통해서 나타납니다. (( JSP파일은 톰캣 서버가 번역하여 그 결과를 HTML 태그로 변환한 후 웹브라우저에 내려보낸다. )) 두 수의 합을 출력하는 JSP 예제) 위 예제 에서는 태그가 사용되었는데 이 태그는 해당 페이지 내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환경을 결정해주는 태그입니다. 이 페이지에서 language="java"는 사용하는 언어가 자바이며 cont..

JSP/JSP 정리 2023.05.31

[JSP] JSP로 시작하기

JSP로 시작하는 웹 프로 그래밍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HTML 태그를 사용하여 웹브라우저 내에 정보를 표시하는데 JSP에서는 이러한 HTML 태그를 사용할 수 있어 웹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젠테이션 역할을 합니다. JSP는 JSP에서만 사용 가능한 다양한 태그(예를 들면 스크립트릿과 같은 것)를 이용하여 쉽게 웹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컨텍스트 패스는 여러 개의 웹 애플리케이션이 WAS에서 동작할 경우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다음은 jsp를 요청하기 위한 URL입니다. 요청할 jsp는 앞에 웹 애플리케이션의 컨텍스트 패스(jsp-study)를 기술 컨텍스트 패스는 톰캣 서버의 server.xml 파일에 등록해야 합니다. 우리는 자동화 툴인 이클립스를..

JSP/JSP 정리 2023.05.31

[JAVA] 정렬 종류와 정의

정렬 종류와 정의 정렬의 정의 : 데이터를 정해진 순서로 재배열하는 것(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은 비교와 교환의 미학 수 많은 정렬 알고리즘이 존재함.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최소값의 인덱스를 찾아서 정렬되지 않은 부분의 제일 앞으로 보내기 ) (교환회수가 적어서 큰 레코드를 다룰 때 적합) 선택 정렬은 제자리 정렬 알고리즘의 하나로 주어진 리스트 중에 최소값을 찾는다. 그 값을 맨 앞에 위치한 값과 교체한다(패스(pass)). 맨 처음 위치를 뺀 나머지 리스트를 같은 방법으로 교체한다. 선택 정렬은 알고리즘이 단순하며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가 제한적인 경우에 사용시 성능 상의 이점이 있다. 선택 정렬(selection sort) 알고리즘의 예제 배열에 9, 6, 7, 3, 5가 저장..

JAVA/JAVA 정리 2023.05.30
728x90